티스토리 뷰
반응형
시외버스를 예매하려고 검색하다 보면 두 가지 사이트가 눈에 띕니다. 바로 버스타고(Bustago)와 코버스(Kobus)입니다. 이름은 비슷하고 모두 ‘버스 예매’ 사이트라는데 도대체 뭐가 다를까요? "어떤 노선을 어디서 예매해야 하는지”, “시외버스와 고속버스의 차이점은 뭔지” 헷갈리는 분들 많으시죠? 특히 고속·시외 노선이 혼재된 지역에서는 정확한 정보를 알고 있는 게 시간도, 돈도 절약하는 지름길입니다. 버스 예매, 이제 더 이상 헤매지 마세요!
버스타고 예약하는 방법
버스타고 사이트 예약
코버스 사이트 예약
버스타고 앱 예약
코버스 앱 예약
버스타고와 코버스의 차이점
항목 | 버스타고 | 코버스 |
운영 주체 | 이지트래블(주), 한국스마트카드 협력 |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
주요 역할 | 시외버스 중심 예매 플랫폼 | 고속버스 전용 예매 플랫폼 |
지원 노선 | 전국 대부분의 시외버스 노선(일부 고속버스 포함) | 전국 고속버스 노선 전담(경부선, 호남선, 영동선 등) |
지원 기능 | 실시간 시간표 조회모바일 티켓 발권좌석 선택환불 및 변경 가능 | 일반/우등/프리미엄 좌석 선택카드 및 간편결제모바일 QR 탑승 가능 |
웹사이트 | www.bustago.or.kr | www.kobus.co.kr |
특징 요약 | 전국 대부분의 시외버스터미널과 연계지방 및 중소도시 간 이동에 최적화 | 서울, 부산 등 대도시 주요 고속터미널과 연계고속버스 이용자에게 적합 |
같은 출발지·목적지라도 예매 플랫폼이 다를 수 있으니, 터미널 종류(고속 / 시외)를 먼저 확인하세요.
어떤 플랫폼을 이용해야 할까?
- 중소도시 이동, 시외 중심 노선을 찾는다면 ➜ 버스타고
- 서울, 부산, 대전 등 대도시 간 고속 이동이 목적이라면 ➜ 코버스
예매 전 체크포인트
- 같은 목적지라도 플랫폼이 다를 수 있습니다.
예: 대구 → 서울- 경부고속터미널 이용 시 → 코버스
- 동서울터미널 이용 시 → 버스타고
- 두 플랫폼 모두 예약 후 모바일 탑승 가능하며, 당일 취소 시 수수료 발생하니 사전에 확인이 필요합니다.
마무리
버스타고와 코버스, 이름은 비슷하지만 쓰임새는 분명히 다릅니다. 목적지와 출발지에 따라 시외버스인지 고속버스인지 먼저 확인하고, 그에 맞는 플랫폼을 선택해 예매하면 빠르고 정확한 이동이 가능합니다. 버스타고는 지방 간, 중소도시 간 시외버스 예매에 유리하고 코버스는 서울·부산 등 대도시 간 고속버스 예매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출발 1시간 전이면 이미 늦을 수도 있습니다. 예매 가능한 좌석은 한정되어 있으니, 미루지 말고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