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어디서든 버스 예매를 하려면 ‘버스타고’와 ‘코버스’ 중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요? 두 플랫폼은 비슷해 보이지만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코버스(KOBUS)’는 고속버스 전용 플랫폼으로,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센트럴시티·동서울터미널 등에서 출발하는 고속버스 노선을 주로 제공합니다. 반면, ‘버스타고(BUSTAGO)’는 시외버스 중심으로 전국의 시외버스 터미널 노선을 폭넓게 다룹니다. 예매할 노선이 고속인지 시외인지에 따라 플랫폼 선택이 달라집니다. 목적지를 정확히 알고 있다면, 지금 바로 아래 버튼을 눌러 빠르게 예매를 진행해보세요. 좌석 확인은 물론, 할인 정보까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버스타고 코버스 차이점
항목 | 버스타고(BUSTAGO) | 코버스(KOBUS) |
플랫폼 종류 | 시외버스 통합 예매 플랫폼 | 고속버스 통합 예매 플랫폼 |
주요 노선 | 중·단거리 시외버스 (군 단위, 지방 중소도시 등) | 고속도로 중심 장거리 노선 (광역시, 대도시 간 이동) |
출발 터미널 | 전국 시외버스 터미널 (예: 강변, 상봉, 대전복합, 마산 등) | 고속버스터미널 (예: 센트럴시티, 동서울, 부산, 광주 등) |
운영 회사 | 전국 시외버스 운수사 협력 | 전국 고속버스 4대 회사 (금호, 동양, 중앙, 한일고속) |
앱/웹 | 버스타고 | 코버스 |
주요 특징 | 다양한 시외 노선, 읍면 단위 지역까지 커버 | 좌석지정, 실시간 배차 확인, 고속도로 직통 노선 중심 |
예약 가능 여부 | 예 | 예 |
버스타고는 지역 구석구석 시외버스, 코버스는 대도시를 빠르게 잇는 고속버스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군 단위, 중소도시" 간 이동 = 버스타고(예: 대전 ↔ 금산 / 전주 ↔ 무주 / 마산 ↔ 통영)
"광역시, 대도시" 간 이동 = 코버스(예: 서울 ↔ 부산 / 광주 ↔ 대구 / 인천 ↔ 울산)
유의사항
같은 목적지라도 플랫폼이 다를 수 있습니다.
예: 대구 → 서울
경부고속터미널 이용 시 → 코버스
동서울터미널 이용 시 → 버스타고
두 플랫폼 모두 예약 후 모바일 탑승 가능하며, 당일 취소 시 수수료 발생하니 사전에 확인이 필요합니다.
버스타고 예약하는 방법
버스타고 사이트 예약
코버스 사이트 예약
버스타고 앱 예약
코버스 앱 예약
대한민국 주요 공항 리무진버스 예매 방법
공항명 | 운수사 / 노선 예시 | 예매 가능 플랫폼 | 예매 방식 및 비고 |
김포공항 | 공항리무진㈜ (6003번 등) | 현장 결제 | 사전 예매 불가. 버스 탑승 시 현금 또는 교통카드(티머니, 후불 교통카드 등)로 결제. 일반 신용카드, 기후동행카드, 디스커버서울카드는 사용 불가. |
경기공항리무진㈜ (4300, 4300-1, 4300-2번 등) | 현장 결제 | 사전 예매 불가. 버스 탑승 시 현금 또는 교통카드로 결제. | |
한국도심공항㈜ (6101번 등) | 현장 결제 | 사전 예매 불가. 버스 탑승 시 현금 또는 교통카드로 결제. | |
인천공항 | 서울공항리무진㈜ (6006, 6009, 6020번 등) | 서울공항리무진 공식 홈페이지 | 온라인 예매 가능. 결제 후 모바일 티켓 발급. |
경기지역 시외버스 (경기고속, 대원고속 등) | 버스타고, 코버스 | 사전 예매 가능. 신용카드, 간편결제 등 다양한 결제 수단 지원. | |
티머니GO 앱 지원 노선 | 티머니GO 앱 | 일부 노선 사전 예매 가능. 모바일 티켓 발급 및 다양한 결제 수단 지원. | |
김해공항 | 지역 시외버스 (부산, 창원 등) | 버스타고, 코버스 | 사전 예매 가능. 신용카드, 간편결제 등 다양한 결제 수단 지원. |
청주공항 | 지역 시외버스 | 버스타고 | 사전 예매 가능. 시외버스 노선은 버스타고에서 확인 가능. |
제주공항 | 제주공항 리무진버스 (600번, 601번 등) | 현장 결제 | 사전 예매 불가. 버스 탑승 시 현금 또는 교통카드로 결제. |
대구공항 | 지역 시외버스 | 버스타고, 코버스 | 사전 예매 가능. 신용카드, 간편결제 등 다양한 결제 수단 지원. |
무안공항 | 지역 시외버스 | 버스타고, 코버스 | 사전 예매 가능. 신용카드, 간편결제 등 다양한 결제 수단 지원. |
◼︎ 유의사항
사전 예매 여부 확인: 이용하실 노선이 사전 예매 가능한지 여부는 해당 운수사의 공식 웹사이트나 고객센터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현장 결제 노선: 사전 예매가 불가능한 노선의 경우, 버스 탑승 시 교통카드(티머니, 캐시비 등) 또는 현금으로 결제하시면 됩니다.
매표소 위치: 공항 내 리무진버스 매표소는 각 공항의 1층 도착층에 위치해 있으며, 일부 노선은 무인 발권기를 통해 승차권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운행 시간 및 요금: 노선에 따라 상이하므로, 이용 전 해당 운수사 홈페이지에서 정확한 운행 시간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시외버스 / 고속버스 환불수수료 안내 (2025년 5월 1일 기준)
◼︎ 공통 유의사항
- 명절 기준: 설/추석 전전일, 전일, 당일 및 다음날까지 적용
- 승차권 발권 시점 기준 1시간 이내 또는 예매 시점 기준 1시간 이내는 취소수수료 없음 (지정차 출발 전)
- 취소수수료 산정 시 100원 미만은 절사함
[시외버스 환불수수료]
구분 | 평일(월~목) | 주말(금~일, 공휴일) | 명절(설, 추석) |
2일 전 | 0% | 0% | 0% |
1일 전~3시간 이전 | 5% | 7.5% | 10% |
3시간 미만~출발 전 | 10% | 15% | 20% |
출발 후~1시간 이내 | 40% | 40% | 40% |
출발 후 1시간 초과~4시간 이내 | 2025년: 50% | 2026년: 60% | 2027년: 70% |
출발 후 4시간 초과 | 100% | 100% | 100% |
[고속버스 환불수수료]
구분 | 평일(월~목) | 주말(금~일, 공휴일) | 명절(설, 추석) |
2일 전 | 0% | 0% | 0% |
1일 전~3시간 이전 | 5% | 7.5% | 10% |
3시간 미만~출발 전 | 10% | 15% | 20% |
출발 후~도착예정시간 이전 | 2025년: 50% | 2026년: 60% | 2027년: 70% |
도착예정시간 초과 | 100% | 100% | 100% |
마무리
버스타고와 코버스, 이름은 비슷하지만 쓰임새는 분명히 다릅니다. 목적지와 출발지에 따라 시외버스인지 고속버스인지 먼저 확인하고, 그에 맞는 플랫폼을 선택해 예매하면 빠르고 정확한 이동이 가능합니다. 버스타고는 지방 간, 중소도시 간 시외버스 예매에 유리하고 코버스는 서울·부산 등 대도시 간 고속버스 예매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출발 1시간 전이면 이미 늦을 수도 있습니다. 예매 가능한 좌석은 한정되어 있으니, 미루지 말고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댓글